코오롱플라스틱은 맞춤형 솔루션 제공을 위해
적극적인 기술 지원을 실현하고 있습니다.
KOPEL®은 engineering ELASTOMER로써 RUBBER와 유사한 성능을 가지는 반면, 제품성형을 위한 가공 조건은
일반적인 결정성의 열가소성 수지와 유사하여 결정성 수지의 성형에 사용되는 일반적일 사출기대로써 가공이 용이합니다.
<Table> Conditions of Injection Molding for Each Hardness
Item | Unit | KP3372 | KP3363 | KP3355 | KP3340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Cylinder Temperature |
Rear Middle Front Nozzle |
℃ | 200 ~ 210 | 200 ~ 210 | 180 ~ 190 | 160 ~ 170 |
225 ~ 235 | 220 ~ 235 | 200 ~ 220 | 170 ~ 190 | |||
225 ~ 240 | 220 ~ 235 | 210 ~ 220 | 180 ~ 200 | |||
Mould Temperature | ℃ | 230 ~ 240 | 220 ~ 235 | 230 ~ 240 | 185 ~ 200 | |
Mold Temperature | ℃ | 40 ~ 60 | 40 ~ 60 | 20 ~ 40 | 20 ~ 40 | |
Molten Polymer | ℃ | 230 ~ 240 | 220 ~ 235 | 210 ~ 220 | 185 ~ 200 | |
Screw RPM | RPM | 40 ~ 80 | ||||
Injection/Holding Press. | ㎏/㎠ | 300 ~ 1,000 | ||||
Back Pressure | ㎏/㎠ | 50 ~ 400 | ||||
Cycle Time |
In | Sec | 2 ~ 6 | 2 ~ 8 | 2 ~ 8 | 2 ~ 10 |
15 ~ 40 | 20 ~ 50 | 20 ~ 50 | 20 ~ 60 |
Injection Molding Machine : ENGEL 75ton(3oz) / Product : ASTM Specimen (Weight 41~46g)
1-1
사출속도는 제품의 형태에 따라 크게 변할 수 있으나 KOPEL®은 타 결정성 수지에 비해 용융상태에서도 고무성질을 상대적으로 많이 가지고 있어,
사출속도를 높게 설정하면 용융물이 사출압력을 흡수하여 용융물의 상태가 여기 되어, 제품설계나 조건설정에 불리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,
타 수지에 비해 낮게 설정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또 얇은 제품의 경우에는 두꺼운 제품에 비해 CAVITY 내에서의 냉각 속도가 빠르므로 사출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야 하며, 두꺼운 제품에서
사출속도가 빠를 경우에는 FLOW-MARK나 JETTING 등의 표면불량 현상으로 제품의 결정적인 불량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.
1-2
압출가공 시 BARREL 내에서의 MIXING이나 기타 목적으로 SCREEN FILTER를 사용할 경우에는 60이나 120 mesh가 적당합니다.
1-3
KOPEL®의 가공 시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분 함유율을 0.1wt% 이하로 유지하여야 합니다.
대개 BAG을 개봉한지 약 2시간 후에는 수분율이 0.1wt% 이상이 되므로 이런 경우에는 100~110℃에서
2~4시간 건조 후 사용하여야 우수한 물성의 제품을 얻을 수 있습니다.
1-4
KOPEL®은 타 열가소성 수지에 비해 융점이 매우 낮으므로, 타 수지의 혼입 시 제품표면의 불량원인이 됩니다.
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대의 청결한 관리 및 작업 전 FEEDER와 BARREL, 경우에 따라서는 SCREW의 WASHING이 필요합니다.
또 DIE와 BARREL 사이에 SCREEN FILTER를 사용하면 미용융물이나 불순물 제거에 효과적이며,
POLYMER MELT의 흐름 균일성 면에서도 유리합니다. 그러나 이 경우에는 BARREL 내의 지나친 압력 상승에 주의하여야 합니다.
착색 제품이나 특정 첨가제의 투입을 위해 MASTER BATCH를 사용할 경우, KOPEL®의 가공조건 내에서
균일하게 용융이나 분산이 가능한 성분으로 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합니다.
Chemical | Effect | Chemical | Effect |
---|---|---|---|
Acetic Acid | ● | ||
Acetone | ● | Hydro Chloric Acid | △ |
Acetylene | ○ | Hydrogen | ● |
Aniline | X | Isopropyl Alcohol | ● |
ASTM Oil #1 | ● | Mercury | ● |
Methyl Alcohol | ● | ||
ASTM Oil #2 | ● | ||
ASTM Reference Fuel A | ● | Methyl Ethyl Keton | ● |
ASTM Reference Fuel B | ● | m-Cresol | X |
Benzene | ○ | Methylene Chloride | X |
Butane | ● | Naphthalene | ○ |
Butyl acetate | ○ | Nitric Acid | |
Carbon mono Oxide | ● | o-Chloro Phenol | X |
Carbon tetra Chloride | △ | Per Chloro Ethylene | X |
Chloro Form | X | Phenol | X |
Chlorosulphonic Acid | △ | Potassium Hydroxide Solutions | ◎ |
Sea Water | ● | ||
Cyclo Hexane | ◎ | ||
D.O.P | ● | Silicone Grease | ● |
Ethyl Acetate | ○ | Soapy Water | ● |
Ethyl Alcohol | ◎ | Salt Water | ● |
Ethyl Chloride | X | Sodium Hydroxide | ◎ |
Steam 100℃ | ○ | ||
Ethylene Dichloride | X | ||
Ethylene Glycol | ● | Steam 100℃ | X |
Ethylene Oxide | ● | Sulfuric Acid 5% | ◎ |
Form Aldehyde | ○ | Sulfuric Acid 10% | ○ |
Formic Acid | ○ | Toluene | ○ |
Trichloro Ethylene | X | ||
Freon | ● | Triethanol Amine | X |
Gasoline | ● | Water | ● |
Glycerin | ● | Water 100℃ | ○ |
n-Hexane | ● | Xylene | ◎ |
Hydrazine | X |
●(very good resistance) > ◎ > ○ (good resistance) > △ > X(soluble)